문학과영상학회 2022년 가을 학술대회
트랜스애틀랜틱 문화로서의 전후 영화:
유럽에서 할리우드까지
안녕하세요?
자세한 프로그램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많은 선생님들께서 참여해주셔서 얼굴 뵙고 이야기 나눌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문학과영상학회 드림
○ 일시: 2022년 11월 19일 (토) 11시
○ 장소: 서울대학교 14동 203호
○ 기획의도
“세계영화”라는 명칭이 가능하다면, 이미 영화는 시작부터 대서양을 횡단하는 트랜스애틀랜틱 문화의 총아였다고 할 수 있다. 히치콕과 번스타인이 설립한 영화제작사 “트랜스애틀랜틱 픽처스”는 이런 전후 영화의 속성을 말해주는 하나의 증거일 것이다. 반대로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는 한 인터뷰에서 “시네필리아”를 옹호하면서, 자신의 영화 감각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얻은 것이라고 밝혔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소비에트에서 미학적 혁신을 단행한 영화는 전지구적으로 대중문화의 중심으로 진입하면서, 발터 벤야민이 진단했던 “대중-정치”라는 새로운 예술작품의 조건에 조응했다. 지리적 차이를 경험화한 영화 기법의 확산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트랜스애틀랜틱 문화의 반경을 넘어서서 새로운 “세계영화”의 국면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영화”라는 장르는 특정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하나의 형식논리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전후 황금기를 맞이한 할리우드는 50년대에 들어 프랑스의 누벨바그,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과 교류하면서 이후 아메리칸 뉴웨이브 시네마의 시대를 맞이한다. 영화 감독의 개성을 “작가”로 해석하는 누벨바그와 영화에서 문학으로 영향을 미친 네오리얼리즘의 흐름만 보더라도 당시 문학과 영화의 변환, 치환, 충돌, 융화가 유럽과 할리우드사이의 터널에서 파동하였는지 알 수 있다. 이런 영화에 대한 역사기술학적 관점에서 이번 문학과영상학회 가을 학술대회는 1950년대 트랜스애틀랜틱 문화의 일환으로 네오리얼리즘과 누벨바그와 같은 유럽의 영화미학과 초창기 할리우드 영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전후 영화의 정체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포스트시네마의 시대에 과거 시네필리아의 대상이었던 “영화”라는 장르의 혁신성과 가능성은 여전히 가치를 지닐까. 전통적인 문화의 합법성을 파괴하고자 했던 누벨바그의 시네필리아의 귀환은 가능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학술적 시도들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 프로그램
시간 | 내용 | 사회 | ||
11:00-11:10 | 개회사: 회장 강우성 인사말: 미국학연구소장 박원호 | 박문정 (한국외대) | ||
11:10-11:40 | 기조 발표 | 이택광 (경희대) | 강우성 (서울대) | |
11:40-12:10 | 세션 토론 | |||
12:10-13:20 | 점심시간 | |||
13:20-13:40 | 1950-60년대 미국 | 미국 록앤롤 음악의 양면성과 엘비스 프레슬리 | 최영진 (중앙대) | 정희원 (서울시립대) |
13:40-14:00 | 가난과 존재: 에이지(James Agee)의 산문, 에반스(Walker Evans)의 사진, 브레송(Robert Bresson) 영화의 순수 형식과 그 의미 | 김효선 (서울대) | ||
14:00-14:30 | 토론: 조청희(경희대) 심효원(연세대) | |||
14:30-14:40 | 쉬는 시간 | |||
14:40-15:00 | 유럽에서 할리우드까지 그리고 지금 | 1950년대 프랑스 전후 느와르 영화에 나타난 할리우드의 영향과 작가주의적 전유 | 표민수 (명지대) | 정혜진 (경희대) |
15:00-15:20 | 오늘날 여전히 "세계영화"는 가능한가?: 모던시네마의 서사적 유산을 돌아보며 | 이민호 (한예종) | ||
15:20-15:50 | 토론: 강봉래(연세대) 김소연(중앙대) | |||
15:50-16:00 | 쉬는 시간 | |||
16:00-16:20 | 파솔리니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 파솔리니와 미국 | 박문정 (한국외대) | 강우성 (서울대) |
16:20-16:40 | 1초에 24번의 섬광: 파솔리니/고다르 | 이나라 (동의대) | ||
16:40-17:10 | 토론: 최화선(서울대) 심효원(연세대) | |||
17:10-17:30 | 연구윤리 교육 | 박문정 (한국외대) | ||
이사회 및 폐회사: 회장 강우성(서울대) |
○ 오시는 길
대중교통
2호선 낙성대역 4번 출구 장블랑제리 앞에서 02번 버스: 기숙사삼거리 정류장 하차
2호선 서울대입구역 3번출구, 7호선 숭실대입구역 2번 출구에서 5511버스: 관악사삼거리 정류장 하차
자가용
지도어플이나 내비게이션에 '서울대학교 14동' 혹은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인문대학' 입력
-후문으로 올 경우 나들문 7
-정문으로 올 경우 나들문 4 / 5